▶ 목차

4.1 배경 및 목적
- 항생제는 전염병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첨단 의료 기술의 발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
- 하지만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어 2050년까지 연간 1,000만 명이 항생제 내성 문제로 사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국내에서는 2019년 전체 항생제 처방의 26.1%가 부적절 판정을 받았으며, 의사의 35% 이상이 항생제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가끔 처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-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환자에게 최적의 항생제를 투여하도록 유도하는 항생제 관리 프로그램(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, ASP) 등 다양한 전략이 필요합니다.
- 세계보건기구(WHO)는 항생제 내성을 공중보건 위기로 선포했고, 국내에서도 정부가 항생제 내성 관리 정책을 펴면서 의료기관 ASP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합니다.
- 국내 급성기 병원에 해당하는 종합병원보다 상위 등급의 의료기관에 적합한 ASP 핵심 요소를 개발이 진행되었으며, 각 의료 유형별로 수행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향후 고려합니다.
4.2 ****한국의 ASP 수행 핵심 요소
4.2.1 한국의 ASP 핵심 요소:
- 리더십의 책무(Leadership commitment) : 병원 경영진은 필요한 자원을 제공합니다.
- 운영 체계(operating system): 전담 의사 및 약사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 ASP 팀
- 중재의 실행(action): 항생제 처방 평가 및 피드백
- 추적조사(tracking): 항생제 사용현황 및 개선영역 파악
- 보고(Reporting): 정기적으로 항생제 사용, 내성, 개입 활동 보고
- 교육(Education): 의료진 및 환자에게 항생제 사용 및 내성에 대해 교육